※ 일부 내용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본 워크샵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을 활용한 질병 진단 및 분석을 위한 실무 중심 교육과정임. 원시 시퀀싱 데이터(FASTQ)부터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유전 변이 및 유전자 발현 정보를 도출하는
전체 파이프라인을 직접 구축하고 실행해볼 수 있음.
2일간의 집중 과정에서 다음 내용을 다룰 예정임.
특히 본 워크샵은 DNA 레벨에서의 변이 호출과 유전체 정보 해석, 그리고 유전자 발현 분석과 전사체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생물학적 매커니즘 규명을 실습 중심으로 다룸. 유전체와 전사체 분석 전 과정을 직접 수행하고, 이를 통해 연구 및 진단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설계되었음.
Window, MacOS 모두 가능, 기본적인 Linux, R 커맨드 활용 예정
강좌 난이도: 하 /
수강생 수준: 기초 유전학 지식을 갖춘 수강생. 일반생물학, 기초분자생물학 지식을 보유하고 있거나 유전학을 학습한 경험이 있으나 분자유전학보다는 유전체학 관점에서 더 깊이 배우고자 하는 분들에게 적합함.
구분 | 세션 | 시간 | 강의내용 | 강사명 | 비고 |
---|---|---|---|---|---|
Day 0 | Session 0 | 09:00~09:00 | 환경 설정 및 데이터 다운로드 e-Learning: 온라인 녹화 동영상 (왼쪽에 기재된 시간 상관없이 사전에 미리 수강) | 홍주현 | 온라인 녹화 |
Day 1 | Session 1 | 09:20~10:50 | 워크샵 Kick-off & 전체 워크플로우 개요 | 최정민 | 강의 |
Day 1 | Session 2 | 11:00~12:30 | NGS 기반 중개 연구를 위한 public DB, data repository에 대한 이해와 활용 | 서해, 이호진 | 강의/실습 |
Day 1 | Session 3 | 14:00~15:30 | Mendelian 질병과 Whole Genome Sequencing 분석에 대한 이해 | 김승수, 이다준 | 강의 |
Day 1 | Session 4 | 15:40~17:00 | Whole Genome Sequencing: Mendelian 질병의 후보 원인 유전자 식별 | 홍주현, 김태근 | 실습 |
Day 2 | Session 1 | 09:20~10:50 | Bulk RNA sequencing: 환자 특이적인 유전자 및 경로 식별 | 최승지, 강다원 | 강의/실습 |
Day 2 | Session 2 | 11:00~12:30 | ATAC sequencing: 후성유전학적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 탐색 | 황아영, 이호진 | 강의/실습 |
Day 2 | Session 3 | 14:00~15:30 | Single cell RNA sequencing: 환자 특이적인 세포 유형 식별 및 발병 기전 규명 | 전인아, 김승수 | 강의/실습 |
Day 2 | Session 4 | 15:40~17:00 | Spatial Transcriptomics: 세포 유형 간 상호작용 추론 | 유광민, 이다준 | 강의/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