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정보
2025 제19회 통계유전학워크샵
19th Asian Institute in Statistical Genetics and Genomics
기본 개요
강좌명
NGS를 통한 중개연구
주강사
최정민 (고려대학교)
조교
전인아, 이다준, 김승수, 최승지, 유광민, 홍주현, 황아영, 이호진, 김태근, 서해, 강다원
날짜
2025.07.21 09:20 ~ 2025.07.22 17:10
강좌 방식
오프라인
강좌 정보

※ 일부 내용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본 워크샵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을 활용한 질병 진단 및 분석을 위한 실무 중심 교육과정임. 원시 시퀀싱 데이터(FASTQ)부터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유전 변이 및 유전자 발현 정보를 도출하는

전체 파이프라인을 직접 구축하고 실행해볼 수 있음.


2일간의 집중 과정에서 다음 내용을 다룰 예정임.

  • NGS 데이터 품질관리 및 전처리 기법
  • 공공 데이터베이스와 NGS 기반 연구 연계 방법
  • Mendelian 질병의 유전체 분석과 임상적 이해
  • Bulk RNA-seq 기반 유전자 발현 분석
  • 후성유전체 분석 기반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 연구
  • 단일세포 RNA-seq 기반 세포 유형 및 발병 분자기전 탐구
  • 공간 전사체 분석을 통한 조직 내 세포 간 상호작용 해석


특히 본 워크샵은 DNA 레벨에서의 변이 호출과 유전체 정보 해석, 그리고 유전자 발현 분석과 전사체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생물학적 매커니즘 규명을 실습 중심으로 다룸. 유전체와 전사체 분석 전 과정을 직접 수행하고, 이를 통해 연구 및 진단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설계되었음.

기타
인터넷 접속 필요여부
웹서핑
동영상
파일 다운로드
기타
교육생 개인 노트북
필요 필요하지 않음
세부 안내사항

Window, MacOS 모두 가능, 기본적인 Linux, R 커맨드 활용 예정

수강생 수준

강좌 난이도: 하 /

수강생 수준: 기초 유전학 지식을 갖춘 수강생. 일반생물학, 기초분자생물학 지식을 보유하고 있거나 유전학을 학습한 경험이 있으나 분자유전학보다는 유전체학 관점에서 더 깊이 배우고자 하는 분들에게 적합함.

수강생 준비물
  • 개인 노트북
  • 사전 공유되는 강의 자료 및 실습 데이터
  • 강의 전 안내되는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 완료
기타 안내사항
-
교육일정
구분 세션 시간 강의내용 강사명 비고
Day 0 Session 0 09:00~09:00 환경 설정 및 데이터 다운로드 e-Learning: 온라인 녹화 동영상 (왼쪽에 기재된 시간 상관없이 사전에 미리 수강) 홍주현 온라인 녹화
Day 1 Session 1 09:20~10:50 워크샵 Kick-off & 전체 워크플로우 개요 최정민 강의
Day 1 Session 2 11:00~12:30 NGS 기반 중개 연구를 위한 public DB, data repository에 대한 이해와 활용 서해, 이호진 강의/실습
Day 1 Session 3 14:00~15:30 Mendelian 질병과 Whole Genome Sequencing 분석에 대한 이해 김승수, 이다준 강의
Day 1 Session 4 15:40~17:00 Whole Genome Sequencing: Mendelian 질병의 후보 원인 유전자 식별 홍주현, 김태근 실습
Day 2 Session 1 09:20~10:50 Bulk RNA sequencing: 환자 특이적인 유전자 및 경로 식별 최승지, 강다원 강의/실습
Day 2 Session 2 11:00~12:30 ATAC sequencing: 후성유전학적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 탐색 황아영, 이호진 강의/실습
Day 2 Session 3 14:00~15:30 Single cell RNA sequencing: 환자 특이적인 세포 유형 식별 및 발병 기전 규명 전인아, 김승수 강의/실습
Day 2 Session 4 15:40~17:00 Spatial Transcriptomics: 세포 유형 간 상호작용 추론 유광민, 이다준 강의/실습